빗살무늬토기 1만년 전, 길고 추었던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인간을 둘러싼 자연환경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토기는 변화된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인류가 발명한 도구의 하나이지만, 구석기시대의 생활양식에서 벗어나 자연자원의 활용, 음식의 조리, 정착생활 등 인류 생활의 큰 변화를 이끄는 ..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1.04.10
농경문 청동기 선사시대의 경우 문자기록이 없기 때문에 땅 속에서 출토된 유물만을 가지고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생생히 그려내기란 매우 어렵다. 만약 당시 모습을 그려놓은 그림이라도 있다면 과거로의 여행에 날개를 달아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농경문 청동기는 매우 귀중한 자산이다. 당시 ..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1.04.10
'중전' 장희빈은 왜 종묘에 들어가지 못했나 영조의 어머니인 최숙빈(숙빈 최씨, 한효주 분)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는 MBC 월화드라마 < 동이 > 가 시청자들을 잠시 헷갈리게 만들었다. 지난 7일 방영된 제23부의 끝부분은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0%E5%C8%F1%BA%F3&nil_profile=newskwd&nil_id=v20100614142906208" target=new>장희빈(장..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0.06.14
황제의 서명까지 위조했다 일본 황태자 마중 나가는 순종 황제 마차. ⓒ연합뉴스 올해는 한·일 병합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난 1910년 대한제국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병합된 이후 36년간 치욕스러운 식민 통치를 받아야 했다. 1945년 광복이 되었지만 식민 지배가 남긴 상처는 여전히 한·일 양국에 깊은 앙금으로 남아 있다. ..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0.06.03
“한일병합 무효” 양국 지식인 공동성명 와다 하루키·김영호 총장 등 양국 인사 200여명 서명 참여 “제국주의의 불의·부정 행위” » 한-일 합병 100년을 맞아 두 나라 지식인들이 ‘1910년 체결된 한일병합조약은 불의·부당한 것이며 원천무효’라는 내용을 뼈대로 한 ‘2010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을 발표. 김영호 유한대 총장을 비롯한 ..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0.05.11
"국사가 골라먹는 아이스크림이냐" <개콘>서 교육정책 비판 "국영수 위주 입시교육 반성해야" 삼일절을 앞두고 개그맨 장동혁씨가 국사를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바꾼 교육당국을 꼬집고 나섰다. 장씨는 28일 밤 방송된 KBS 2TV <개그콘서트> '2010 봉숭아학당-동혁이형이야'에서 대뜸 "삼일절을 앞두고 분통이 터진다"며 교육개정..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10.03.08
박노자의 거꾸로 본 고대사 - 임나일본부설 역사학계 한-일전 ‘임나일본부설’ [박노자의 거꾸로 본 고대사] 한국 쪽 기록은 태부족, 일본쪽 기록은 창작물 수준… 민족주의 바탕한 자존심 싸움만 진행돼 역사의 복수라고나 할까? 통일신라 이후의 사서에서 가야 지역은 이렇다 할 독립적 위치를 점하지 못했다. 가락국(남가야·김해) 왕실의 ..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09.05.15
Error in NYT 뉴욕타임스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것은 실수라는 광고가 대문짝만하게 실렸다. '뉴욕타임스의 실수(Error in NYT)'라는 제목의 이번 광고는 11일자(현지시간) A섹션 11면에 게재됐다. 지난달 6일 뉴욕타임스에 게제 된 한반도 관련 기사에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 된 것을 지우고 '동해(East Sea)'가 옳..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09.05.12
국보이야기 (하) 2009년 4월 3일자 중앙일보/ 뉴스클립/ 이경희 기자 국보 1호만 상처 입은 게 아닙니다. 송광사 목조삼존불감(42호)이 도난당한 적 있고, 난중일기(76호)는 도난당해 일본으로 밀반출되기 직전에 되찾았습니다. 불국사 석가탑(21호)은 복원 과정에서 3층 탑신이 부서지는 사고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국보 10..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09.04.05
국보이야기 (상) 2009년 4월 2일자 중앙일보/ 뉴스클립/ 이경희 기자 국보 1호 숭례문이 불탄 지 1년여가 흘렀습니다. 숭례문은 상처를 입었지만, 악재를 계기로 국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더 높아진 듯합니다. 뉴스클립을 통해 국보 이야기를 들려 드립니다. 2회에 걸쳐 총 네 개 면을 할애해 소개합니다. 먼저 문화재청.. 생각 보따리/역사가 궁금해 2009.04.05